목록분류 전체보기 (272)
나만의 작은 도서관
이번 주 한 마디: 어떤 팀원은 연락이 잘 안되고, 어떤 팀원은 장염에 걸렸지만 팀 프로젝트는 결과가 나름 만족스럽게 나오며 끝내 잘 마무리하였다. 이번 주 배운 내용 소켓, 쓰레드, I/O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prisma client와 연결된 DB간의 관계. 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Prisma 배열과 객체의 반환 값 판정 Prisma NOT, gte, lte사용법 prisma. findFirst메소드는 유일성을 검사하지 않는다. prisma. findUnique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일성 오류이번 주 한 일 IOCP, Select모델 발표 자료 제작 완료1차 팀 프로젝트 각 팀원의 PR ..
오늘 배운 내용 prisma. findFirst메소드는 유일성을 검사하지 않는다.findFirst메소드는 조건을 만족하는 첫번째 레코드를 반환하며 유일성을 검사하지 않는다. 따라서,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가 여러 개 존재해도 오류를 반환하지 않는다. (findMany결과값에서 [0]을 반환하는 경우와 같다고 보면 된다.)만약 조건을 만족하는 레코드가 하나도 존재하지 않는다면 null값이 반환된다. const data = await prisma_gamedata.items.findFirst({ where:{ itemCode: 0 // itemCode가 0인 경우는 없다 }});console.log(data); // nu..
개요이번에는 4명의 팀원들과 함께 간단한 축구게임인 풋살 온라인 게임을 제작하였다. 언제나 그랬듯 5/31~6/7까지 총 일주일동안 협력하면서 무엇이 좋았고, 어떤 문제가 발생했었는지, 그리고 문제를 어떤식으로 해결하려 했는지 KPT 방식으로 회고해보자. 팀에서의 내 역할: 팀장 https://github.com/pledge24/futsalOnline GitHub - pledge24/futsalOnlineContribute to pledge24/futsalOnlin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Keep - 현재 만족하고 있는 부분윤형석(나)디스코드의 음성 채널을 통한 회의는 참으로 좋았습니다. 기존 zep보다 음질이 좋기도 하고,..
오늘 배운 내용 Prisma 배열과 객체의 반환 값 판정Node.js에서 express.js와 prisma를 이용한 API 제작에서 await prisma.XXX와 같은 코드를 자주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가져오는 반환값이 배열이냐 객체이냐에 따라 if판정이 달라진다. 아래 코드를 보자.// 구단에 넣을 선수를 인벤토리DB에서 가져옵니다.const playerInInventory = await userDataClient.user_player.findFirst({ where: { account_id, player_id, },}); 위의 코드를 실행해서 얻은 반환 값을 playerInInventory라는 변수에 저장하고 있다. f..
오늘 배운 내용 prisma client와 연결된 DB간의 관계. 협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prisma client는 npx prisma generate와 같은 명령어로 생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생성된 client는 local범위(즉, 명령어를 실행한 PC)에서만 적용이 된다. npx prisma db push 명령어를 실행하게 되면 자동으로 npx prisma generate가 실행됨과 동시에 갱신된 client정보를 연결된 DB에 구조를 갱신하게 된다. 여기까지는 알고 있는 사실이었다. 문제는 같은 DB를 사용하는 다른 팀원이 해당 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는지이다. 연결된 DB(이번 프로젝트 기준 mySQL)는 vscod..
오늘 배운 내용 소켓소켓은 통신의 극점(endpoint)를 말하며, 두 프로세스가 네트워크 상에서 통신을 할 때 사용한다. 양 프로세스에 하나씩 총 두개의 소켓이 필요하며, 각 소켓은 IP주소 + 포트 번호 조합으로 구별한다. 서버-클라이언트 구조인 경우, 클라이언트가 서버로부터 부여받는 포트번호는 유일한다(1024번 이상의 포트 번호) 쓰레드프로세스 내에서 작업을 실행하는 주체이다. 하나의 프로세스에 1개 또는 그 이상의 쓰레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 대 여러 개의 쓰레드를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멀티쓰레드 프로세스라고 한다. 멀티 쓰레드인 경우 각 쓰레드는 프로세스의 메모리를 공유 자원으로 사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쓰레드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