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13)
나만의 작은 도서관
유의사항: 해당 글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용도이므로, 수정이 필요할 경우 내용의 수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flex각 노드의 height는 가장 height가 높은 노드로 고정display:flex부모 노드에 설정. 자식 노드들(아이템)을 가로 방향으로 배치.flex-direction: row | column | row-reverse | column-reverse;가로로 배치, 세로로 배치. reverse는 좌우 또는 상하 반전 배치.flex-wrap: nowrap | wrap | wrap-reverse여유공간이 없을 때 줄바꿈 없음, 해당 노드 위로 줄바꿈, 해당 노드 아래로 줄바꿈flex-flow: flex-direction + flex-wrap인 단축 속성ex) flex-flow: row wrap..
오늘 하루 한줄평: 온 세상이 git이다.오늘 배운 내용Github에서 Pull Request는 사실 브랜치를 만들지 않는다면 사용할 수 없는 기능이다. 애초에 Pull Request는 분기점 발생한 후에 따로 작업한 내용을 merge를 할 때 merge해도 되는 지 협업자들한테 확인을 부탁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git add는 git에 올릴 파일을 지정, git commit은 로컬 git에 저장하는 명령어다. git add는 한번에 올리는 . 옵션이 있지만 파일을 선택해서 올린다는 점에서 굳이 구분을 했어야 했나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일부 파일을 급하게 올려야하는 상황이거나 step by step으로 커밋하고 싶을 때 add의 지정 옵션은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 branch는 태그같은 것이다. 좀..
문제 링크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0367 프로그래머스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programmers.co.kr 난이도 : Lv.3 문제 요약 설명숫자 num이 주어졌을 때 해당 수를 완전 이진 트리로 표현할 수 있으면 1, 아니면 0을 반환한다. 숫자는 배열 형태(numbers)로 여러 개 주어진다. 완전 이진 트리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임의의 이진 트리를 만든다. 이진 트리의 모든 부모 노드는 왼쪽 자식 노드의 서브 트리보다 순서가 낮으며, 오른쪽 자식 노드의 서브 트리보다 순서가 높다...
오늘 배운 내용자바스크립트에는 최근까지 class에 private 키워드가 없었다. 클래스를 통해 객체 지향 방식의 프로그래밍이 가능하지만 정작 set, get함수가 키워드로 존재할 때 까지 private 키워드가 없었기 때문에 underscore('_')변수 앞에 붙이는 방식으로 private 변수를 의미하게 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은닉이 되지 않았고 접근 할 수 없어야 했던 클래스 내 변수들이 개나소나 읽고 쓸 수 있었다. 마치 '너는 이제부터 우리 눈 앞에 보이지 않는거다'라고 말해주고 모드가 안보이는 척하는 느낌이랄까... 아무튼 가시성만 좋은 _붙이기는 후에 클로저, 심볼을 활용한 대체 방법들이 나왔다가 2019년도에 나온 # prefix를 통해 정식으로 private를 사용할 수 있게..
유의사항: 해당 글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용도이므로, 수정이 필요할 경우 내용의 수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개요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에는 가비지 컬렉터(Garbage Collector)를 지원한다. 가비지 컬렉터는 개념이기 때문에 각 언어에서 사용하는 가비지 컬렉터는 조금씩 다른 부분이 있다.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의 가비지 컬렉터의 작동과정을 간단히 알아보자.가비지 컬렉터란?직역하면 "쓰레기 수집가"인 가비지 컬렉터(줄여서 GC라고 부르기도 한다.)는 이름 그대로 쓰레기를 수집하는 기능이다.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도중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렇게 자리만 차지하고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데이터를 쓰레기라고 말한다. 이런 쓰레기를 수집함으로써 메모리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
오늘 배운 내용콜백 함수, promise, async/await.... 이런 기능들이 자바스크립트에 있는 이유는 바로 비동기 실행 코드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fetch()함수는 promise객체를 반환하는데, 반환하기 전까지 다른 코드를 실행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요청만하고 다음 줄 코드가 실행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fetch()함수가 끝났을 때 실행되야 하는 의존성을 가진 코드가 먼저 실행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콜백 함수, promise, async/await가 존재한다.(사실 콜백함수는 조금 얘기가 다르다.)클로져라는 개념이 자바스크립트에 존재한다. 갈비지 컬렉터와도 연관되어있는 클로져는 내부 함수의 수명이 외부 함수보다 길 때, 외부 함수가 수명이 다해도 해당 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