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69)
나만의 작은 도서관
오늘의 한 마디: 짠 코드를 클린하게 바꾸고 싶지만, 이미 적은 코드를 다시 짜는 것은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오늘 배운 내용 env파일 사용법API키나 DB 관리자 계정과 같은 민감한 정보들을 밖으로 노출시키고 싶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env확장자 파일과 dotenv패키지를 사용하면 간단하게 노출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조심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env파일에서 변수이름="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에서 '=' 연산자 양쪽으로 공백 금지.저장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문자열로 저장dotenv.config() 구문이 있어야 변수를 가져올 수 있음.// -------- cmd ---------------// cmd에서 dotenv 패키지 ..
오늘의 한 마디: 내 눈으로 내가 원했던 능력을 가진 사람을 보는 것만큼 강력한 동기부여는 없다.오늘 배운 내용 HTTP에는 상태 코드라는 것이 존재한다. 상태 코드는 서버에서의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일종의 메세지이며, 첫 번째 숫자는 HTTP 응답의 종류를 구분하는 데 사용하며 나머지 2개의 숫자는 세부적인 응답 내용 구분을 위한 번호이다. 오늘 알게 된 상태 코드는 200(성공), 201(생성됨), 400(잘못된 요청), 404(찾을 수 없음)이 있다.만약 mongoose에서 scheme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할 때 속성의 value값을 배열로 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const EquipmentsSchema = new mong..
유의사항: 해당 글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용도이므로, 수정이 필요할 경우 내용의 수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주는 컴퓨터를 '서버(Server)',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는 컴퓨터를 '클라이언트(Client)'라고 한다.서버-클라이언트 구조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Request하면 Request를 받은 서버 역할을 하는 컴퓨터가 로직을 통해 Request를 처리하고 Response한다. 이 때, 한 대의 서버에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접속하는 구조를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라고 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등장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이에 응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러한 구조..
오늘의 한 마디: 내일은 빨간 날! 그런데 왜 폭우가 예정되어 있는걸까... 오늘 배운 내용 DNS(Domain Name Service)인터넷을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서비스로, "goog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으로 매핑된 IP주소를 찾아갈 수 있게하는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google.com"을 주소창에 입력하면 DNS 서버에 해당 도메인 이름과 매핑된 IP주소 8.8.8.8 response로 받고, 8.8.8.8 IP 주소로 이동하여 웹페이지를 response로 받는다. DNS 서버는 세계 여러 곳에 분산되어 존재하는데, 해당 도메인 이름이 어느 서버에 저장되어 있느냐에 따라 response를 받는 속도가 달라진..
오늘의 한 마디: 클났네오늘 배운 내용 파일의 경로를 나타날 때, ./는 상대경로로 현재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가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index.js를 하면 현재 파일을 포함하는 해당 폴더 안에 있는 index.js를 가리킨다.npm, yarn은 패키지 관리자로 여러 패키지들을 설치하고 버전 관리 및 의존성을 해결해주는 편리한 도구이다. yarn의 경우 패키지를 설치하면 package.json파일이 생기고, 해당 파일 안에는 설치한 패키지의 정보가 들어있다.package.json파일이 있다면 yarn명령어로 추가한 패키지가 담긴 node_modules폴더가 없어도 사용된 패키지를 알 수 있다. 만약 설치가 필요하다면 package...
이번 주 한 마디: 냅뒀으면 하는 마음 반, 잡아줬으면 하는 마음 반... 나도 내가 어떤걸 원하는 지 잘 모르겠다.이번 주 배운 내용 HTML: , , 등의 사용법style, script를 html파일에 넣는 3가지 방식과 우선순위: 인라인 > 임베드 > 외부document.head.appendChild()를 이용한 외부 자바스크립트 파일 가져오기Git / Github 사용법: branch, pull origin dev, PR(Pull Request)defer, async, module의 차이점import, export, default 기본 개념마크업, 마크다운 언어의 차이점자바스크립트에서의 Array 특징들for...in, 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