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7/03 (2)
나만의 작은 도서관
주의사항: 해당 글은 일기와 같은 기록용으로, 다듬지 않은 날것 그대로인 글입니다. 컨텍스트 스위칭(context switching)이란?코어에서 실행 중이던 스레드가 다른 스레드로 교체되는 상황을 의미컨텍스트(context)란?스레드의 상태를 의미, CPU나 메모리 등등…CPU에는 레지스터가 있음.컨텍스트 스위칭은 왜 필요한가?하나의 코어에서 여러 프로세스 또는 여러 스레드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다. 컨텍스트 스위칭을 하지 않는다면, 기존에 실행되던 컨텍스트만 실행되기 때문에 코어의 개수 이상의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없게 된다.컨텍스트 스위칭은 언제 발생하는가?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한다. 배정받은 time slice를 초과했거나, CPU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인 I/O 작업이나 다른 리소스를 가져오거나, 파일..

사건의 발단: 갑작스레 늘어난 청구 비용부트캠프 다닐 시절에 만들었던 EC2 인스턴스와 RDS 인스턴스를 다시 설정하기 귀찮다는 이유로 계속 방치해 두었다. 정확히는 ‘새로운 프로젝트에서 재사용할 거니까 굳이 삭제하지는 말자’는 마인드였다.그렇게 매달, 지금까지 방치해 두었던 인스턴스들로 인해 10,000원 안팎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었다. 인스턴스 자체는 프리티어라 과금이 발생하지 않지만, 인스턴스를 여러 개 사용하기도 했고, Elastic IP도 사용하고 있었던 터라 추가 요금이 발생하고 있던 것이다.그런데 갑자기 6월 청구 비용이 10,000원이 아닌 67,000원이 찍힌 것이다. 건드린 게 하나도 없는데 67,000원이라니… 무엇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더 이상 인스턴스를 방치해 둘 수 없었다. 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