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2/08 (2)
나만의 작은 도서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fnXx/btsMaTOPMiX/YDE6u7QIs6hGoZc41JDGlK/img.jpg)
문제 발생 상황 한글이 포함된 경로에서 C++로 설정한 언리얼 프로젝트를 실행하니 프로젝트가 열리지 않았다. 그래서 한글이 포함되지 않은 경로로 언리얼 프로젝트들이 들어있는 폴더를 옮겼는데, 최근 프로젝트에 프로젝트들이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해결법1. C:\Users(user)\AppData\Local\UnrealEngine\5.1\Saved\Config\WindowsEditor로 이동해서 EditorSettings.ini를 찾는다. +) AppData폴더는 숨겨진 파일이므로 보이지 않는다면 숨긴 항목을 체크하면 보인다. 2. EditorSettings.ini를 텍스트 편집기(메모장이나 vscode등...)로 열어서 "CreatedProjectPaths="를 찾는다. 찾았다면 프로젝트들이 들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1xhj/btsMcBMCuYt/zHFcFkwlbj9rG4Q81kzPB0/img.png)
문제 발생 상황 언리얼 엔진 5.2를 C++로 프로젝트를 만들었더니 화면이 뜬 지 얼마 안 가, 위 그림처럼 오류가 뜨면서 프로그램이 꺼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해결법 1. 언리얼 프로젝트 폴더 -> Config -> DefaultEngine.ini파일을 찾아서 텍스트 편집기(메모장, vscode등)로 연다. 2. DefaultEngine.ini 파일 수정 텍스트 편집기를 통해 열어보면 아래와 같은 사진처럼 되어있는데, 여기서 아래 설정을 찾는다.DefaultGraphicsRHI=DefaultGraphicsRHI_DX12 해당 설정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면 해결된다.DefaultGraphicsRHI=DefaultGraphicsRHI_DX11